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방영 예정 드라마 정보

스마트 그리드, 진화하는 전기 네트워크 본문

스마트제품

스마트 그리드, 진화하는 전기 네트워크

1ooo1 2020. 8. 31. 00:39
스마트 그리드는 전기 및 데이터의 양방향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네트워크로 스마트 그리드의 정의, 트렌드 및 필수 특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 그리드는 디지털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전기 및 데이터의 양방향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네트워크로, 사용량 변화와 여러 문제를 감지, 대응 및 예방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 그리드가 도입되게 된 가장 큰 이유로는 환경 문제가 있습니다. 온난화 문제는 해마다 빠지지 않고 등장하고 있는데요. 이러한 이유로 전력 사용량도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급격한 온도 변화는 전력 수급과 관리의 어려움이 생겼고 스마트그리드는 이런 고민에서 등장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한편 스마트 그리드에는 자가 치유 기능이 있으며 전기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자가 될 수 있습니다. 스마트 그리드는 여러 가지 목적을 제공하며 기존 전력 그리드에서 스마트 그리드로의 이동은 에너지 시장의 규제 완화, 계량의 진화, 전력 생산 수준의 변화, 분산 (분산 에너지) , 출현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주도됩니다. 스마트 그리드에는 스마트 미터, 스마트 기기, 재생 가능 에너지 자원 및 에너지 효율적인 자원과 같은 다양한 운영 및 에너지 측정이 포함됩니다. 전기 그리드 또는 전기 그리드는 생산자 및 전기가 생성되고 변환되는 장소 (발전소 및 변전소)에서 전기가 '소비되는'최종 목적지와 연결됩니다. 실제로 이는 변전소, 송전선 및 배선, 배전선, 변압기 등과 같은 여러 구성 요소와 고도로 상호 연결된 네트워크입니다. 스마트 그리드 및 그리드 현대화 업계의 일부 사람들은 더 이상 스마트 그리드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그리드 생태계 플레이어는 에너지 생산 및 운송의 분산화에서 다양한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미터링보다 훨씬 더 많은 요소를 사용하여 두 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반대 방향으로 그리드에 전력을 추가하기 때문에 전력 그리드 현대화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그러나 많은 국가, 지역, 주 등이 이미 10 년 전에 이러한 스마트 미터링 이니셔티브를 수행했지만 이것이 실제로 시작된 곳이 여전히 몇 개 있습니다. 많은 국가에서 그리드 플레이어의 과제는 주로 에너지 생산 및 운송의 분산에서 볼 수 있습니다. 기존 전력망과 비교 한 스마트 그리드 전통적인 전력망은 저장 기능이 거의 없었고 수요 중심적이며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전기 네트워크에서 전압은 점차 낮아져서 전송 전압 레벨에서 배전 전압 레벨, 서비스 전압 레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비자가 전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전송과 배전 간에 구분이 이루어지며 , 여기에서 다른 배선 및 케이블 링 시스템이 그림에 나타납니다. 전기 그리드의 목적은 필요할 때 언제 어디서나 중단 없이 전기가 항상 제공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스마트 그리드에서 자가 치유 기능은 그리드 문제를 자동으로 감지 및 대응하고 장애 발생 후 신속한 복구를 보장합니다. 스마트 그리드의 필수 특성 인 전기와 데이터의 양방향 흐름은 전력 시장의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에게 정보와 데이터를 제공하여 그리드를 최적화하고 잠재적인 문제를 예측하며 문제 발생 시 더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 그리드에서 전력 수급과 관리를 최적화 하기 위해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에너지 저장기능이라고 합니다. 에너지 저장 기능은 대용량 전기를 저장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으로 에너지를 컨테이너 모양의 대형 배터리에 저장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에너지 저장 기능을 이용해 전기를 저장할 수 있게 되면 태양광, 풍력, 조력, 파력 등 신재생에너지나 소규모 발전소에서 얻은 소량의 전기를 저장해 나중에 쓸 수 있게 됭 수요과 공급을 적절히 조절해 버려지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이를 통해 전력 수요 불균형에 대비할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Comments